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3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설교일 2025-01-12
본문 롬 15:1-6
설교제목 그리스도의 본을 따라야 할 교회 공동체

그리스도의 본을 따라야 할 교회 공동체

롬 15:1-6

서론:

교회 공동체 내 다양한 영적 수준과 신앙 배경

로마 교회 내 유대인-이방인 신자들의 갈등 상황

초신자와 성숙한 신자의 공존

이해관계, 문화적 차이, 영적 성숙도의 차이

  1. 믿음이 강한 사람들의 책임(1,2)
    1. 믿음이 약한 사람들의 약점을 담당하는 것(1)

1 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사, 그러나 (믿음이) 강한 우리는 (믿음이) 약한 사람들의 약점(연약함)을 꾹 참아야 하고 우리 자신을 기쁘게 하지 말아야 한다

“믿음이 강한 우리는”

사, 강한 우리는

바울은 자신이 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자신을 포함시키고 있다(AB, BECNT, ICC2, NAC, NICNT, WBC).

주로 이방인 그리스도인으로 특정 날이나 음식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사람들

“믿음이 강한 자” – δυνατός(뒤나토스, 힘있는, 강한, 능력있는), 형용사, 남성, 복수, 주격, 명사적 형용사, (믿음이)강한 사람들

능력이 있거나 유능한 상태와 관련이 있는(BDAG)

특히, 능력이나 기술의 특정 영역과 관련된, 유능한, 숙련된(BDAG)

여기서는, (믿음이) 강한 사람들(BDAG)

‘믿음이 강한 우리는’ – ‘강한 자들’과 ‘우리’는 동격으로(Dunn), 바울은 자신을 ‘강한 자들’과 동일시 하고 있다(EGGNT).

“믿음이 약한 자” – δύνατος(아뒤나토스, 약한, 할 수 없는, 불가능한), 형용사, 남성, 복수, 속격, 명사적 형용사, 약한 사람들의

‘적절히 기능할 능력이 없는 상태와 관련이 있는’ 곧, 무력한, 무능한(BDAG)

명사적 용법으로, (믿음이) 약한 사람들(BDAG)

주로 유대인 그리스도인들로 절기와 음식 문제를 여전히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약점” – σθένημα(아스데네마, 연약함, 약함), 명사, 중성, 복수, 대격

약함, 약점(BDAG)

복수형으로, 믿음의 약함으로 인해 생긴 양심적 거리낌(BDAG)

‘연약함 또는 제한된 능력의 한 경우’ 곧, 연약함(약점), 연약함의 경우(LN)

“담당하고” – βαστάζω(바스타조, 들다, 짊어지다, 옮기다, 메다), 부정사, 현재, 능동태

‘짐을 지다’ 곧, 짊어지다, 견디다(BDAG).

비유적으로, 특히 힘들거나 억압적인 상황을 견디다, 인내하다(BDAG).

여기서는 약한 자들의 약점(연약함)을 ‘꾹 참다’(BDAG).

인내하다, 견뎌내다(LN).

참다(BSL).

엡 4:12 이는 성도를 온전하게 하여 봉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

“마땅히~하고” – φείλω(오페일로, ~해야 한다, 책임을 행하다, 빚지다), 직설법, 현재, 능동태, 1인칭, 복수, 우리는 ~해야 한다

φείλω+부정사’는 도덕적 의무를 나타낸다(TDNT, Jewett, EGGNT).

강한 자들이 약한 자들의 약점을 꾹 참아야 한다는 것은 단순한 관용 그 이상을 요구한다. 그것은 연약한 자들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다(BECNT, NAC, WBC, SSA). 약자의 비위를 맞춰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약자의 태도에 공감하고 그들을 비판하는 대신 사랑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다(NICNT).

    1.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않는 것(1)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사, 우리 자신을 기쁘게 하지 말아야 한다

기독교인의 자유를 이기적인 방식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NICNT).

    1. 이웃을 기쁘게 하는 것(2)

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사, 우리 각 사람은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한다

“우리 각 사람”

개인을 향한 명령임을 강조하며, ‘우리’는 부분적 속격으로, 강한 자와 약한 자 모두를 포함한다(Jewett, EGGNT).

“이웃”

동료 그리스도인들(BECNT, NAC, SSA, TH)

“기쁘게 하다” – ρέσκω(아레스코, 기쁘게 하다, 환심을 사다), 명령, 현재, 능동태, 3인칭, 단수, 기쁘게 해야 한다

‘기쁨/만족을 주다’ 곧, ‘기쁘게 하다, 편의를 제공하다’의 의미로, 상호주의를 중시하는 지중해 세계에서 선호되는 용어이다(BDAG).

사랑으로 살라는 뜻으로, 사랑하라는 명령을 이행하는 것이다(NICNT).

롬 13:8,9 피차 사랑의 빚 외에는 아무에게든지 아무 빚도 지지 말라 남을 사랑하는 자는 율법을 다 이루었느니라 간음하지 말라, 살인하지 말라, 도둑질하지 말라, 탐내지 말라 한 것과 그 외에 다른 계명이 있을지라도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신 그 말씀 가운데 다 들었느니라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하는 첫 번째 목적은 무엇입니까?)

  1.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하는 목적

첫째, 선을 위하여

2 …선을 이루고

“선을 이루고”

사, 선을 위하여

“선” – γαθός(아가도스, 선한, 착한, 좋은), 형용사, 중성, 단수, 대격, 명사적 형용사, 선

‘높은 수준의 가치와 장점을 충족시키는 것’ 곧, 선(BDAG)

‘가장 일반적인 성격의 긍정적인 도덕적 자질’ 곧, 선, 선함, 선행(LN)

‘행복을 돕거나 촉진하는 것’ 곧, 이익(BSL)

로마서 15:2에서 강한 자가 약한 자를 향한 의무는 선함, 즉 유익함으로 인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EDNT).

Εἰς + 대격은 목적을 나타낸다(EGGNT).

선을 위하여

따라서 이웃을 기쁘게 하는 첫 번째 목적은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서이다.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하는 두 번째 목적은 무엇입니까?)

둘째, 세움을 위하여

2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

“덕을 세우도록” – οκοδομή(오이코도메, 건물, 구조물, 세움), 명사, 여성, 단수, 대격, 강화(세움)를 위하여

οκος(오이코스, 집)와 δέμω(데모, 세우다)의 합성어로, ‘집을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BDAG).

‘건축의 과정’ 곧, 건물, 건축(BDAG)

비유적으로, ‘영적 강화’ 곧, 계몽, 교화, 강화(BDAG)

‘어떤 것을 성취하거나 완성을 접근하도록 하는 행위’(미완성 건물의 건축을 돕는 것처럼) 곧, 구축(BSL)

교회는 ‘살아 있는 건물’로서 하나님의 사역으로 세워지는 것을 암시한다.

고전 14:12 그러므로 너희도 영적인 것을 사모하는 자인즉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하여 그것이 풍성하기를 구하라

‘교회의 덕을 세우기 위하여’ – 교회를 세우기 위하여(BDAG)

πρός + 대격은 첫 번째 목적을 해석하는 두 번째 목적을 나타낸다(Schreiner, EGGNT).

이 단어는 항상 교회 공동체의 삶에 대하여 사용된다(Jewett, EGGNT).

다른 사람들이 선과 믿음과 경건함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BECNT).

따라서 이웃을 기쁘게 하는 두 번째 목적은 교회를 세우기 위해서이다.

‘덕 세움’ 곧 ‘교회 세움’은 ‘선’이 무엇인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Gdt, NICNT).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않고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하는 이유며 근거는 무엇입니까?)

  1.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하는 이유(근거)

첫째, 그리스도께서 보이신 본 때문에

3 그리스도께서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나니 기록된 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그리스도께서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나니”

사, 이는 그리스도조차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을 섬기는 예수님의 자기희생은 본받아야 할 모델이다(NICNT).

그러기 때문에 우리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말고(1),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한다(2)는 말씀이다.

문장 맨 앞에 나오는 καί는 강의("심지어 ~조차도")으로 사용되었다(EGGNT).

문장 앞에 나오는 γάρ(가르, 왜냐하면)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예수 그리스도의 행동을 이 명령(자신을 기쁘게 하지 않고, 이웃을 기쁘게 해야 한다)의 근거로 제시한다. 이는 그의 수난과 십자가에 못 박힘을 의미한다(AB, BECNT, Mu, NICNT).

막 10:45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빌 2:5-8

5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6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7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8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그리스도” – Χριστὸς(호 크리스토스)

‘그리스도’ 앞에 정관사는 직함으로서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ICC2, NICNT, SSA, WBC). 그것은 메시아적 지위를 의미한다(BECNT).

“기쁘게 하다”

종합적 부정과거로(EGGNT), ‘그의 전체 지상 생활 동안’을 나타낸다(BDF, EGGNT).

“기록된 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사, 오히려 기록된 바와 같으니, 당신을 비방(모욕)하는 자들의 비방들(모욕들)이 내게 닥쳤나이다

시 68:10 주의 집을 위하는 열성이 나를 삼키고 주를 비방하는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주를” – 당신을

하나님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Cranfield, Schreiner, EGGNT).

‘자기를(그리스도)’과 ‘주를(당신을)(하나님)’은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이심을 말하고 있다(AB, BECNT, ECC2, NAC, NICNT).

“비방하는 자들의” – νειδίζω(오네이디조, 욕하다, 질책하다, 꾸짖다, 비난하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복수, 속격, 정관사와 함께 명사적 용법으로, 비방하는 자들의

‘상대를 깎아내리는 방식으로 잘못을 지적하다’ 곧, 비방하다, 모욕하다, 조롱하다, 모욕을 퍼붓다(수치심을 주는 방식으로)(BDAG)

여기서는, 예수님을 향한 모욕과 조롱에 관하여(BDAG)

현재 시제는 반복적인 행위를 나타내며, 속격은 주체적인 속격이다(EGGNT).

“비방” – νειδισμός(오네이디스모스, 모욕, 비방, 수모, 치욕), 명사, 남성, 복수, 주격

‘불명예(수치)를 초래하는 비방(경멸) 행위’ 곧, 비방, 수치, 모욕, 치욕, 욕설(BDAG)

“미쳤나이다” – πιπίπτω(에피핖토, ~위에 떨어지다, 달려들다), 직설법, 과거, 능동태, 3인칭, 복수, 그것들이 닥쳤다

일어나다, 생기다, 닥치다(특별한 사건과 불행에 대하여)(BDAG).

부정과거 시제는 종합적이며, πί + 대격(내게)은 공간적 의미로 "내 위에"를 나타낸다(EGGNT).

‘예수님은 계속적인 비방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기쁘게 하지 않으셨다’는 말씀이다.

둘째, 구약성경이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되었기 때문에

4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사,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것은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문장 앞의 ‘왜냐하면(γάρ)’는 구약성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음 단락에서 여러 인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Schreiner, EGGNT).

“전에 기록된 바는” – προγράφω(프로그라포, 미리 쓰다, 기록하다), 직설법, 과거, 수동태, 3인칭, 단수, 종합적인 부정과거이며, 신적 수동태(EGGNT), 전에 기록되었다

‘미리 또는 전에 쓰다’ 곧, 전에 쓰다(BDAG).

구약 성경

“교훈” – διδασκαλία(디다스칼리아, 교훈, 가르침, 가르치는 일), 명사, 여성, 단수, 대격, 목적 대격(Robertson), 교훈을 위하여

‘가르치는 행위’ 곧, 가르침, 교훈(BDAG)

전에 기록된 구약 성경은 그 당시의 사람들을 위해서만 기록된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를 위해서도 기록되었다.

롬 4:23,24 그에게 의로 여겨졌다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 위한 것이 아니요 의로 여기심을 받을 우리도 위함이니 곧 예수 우리 주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를 믿는 자니라

(구약성경이 우리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목적은 무엇입니까?)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위로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사, 우리가 인내를 통하여 그리고 성경의 위로를 통하여 소망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사, 소망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소망” – λπίς(엘피스, 소망, 기대), 명사, 여성, 단수, 대격

‘하나님의 약속에서 언급된 사항들’ 곧, 소망(BDAG)

“가지게” – 가정법, 현재, 능동태, 1인칭, 복수

‘소망의 유지와 지속을 나타내는’ 습관적 현재 시제이다(Moo, EGGNT).

기존의 소망이 강화되고 유지될 것임을 나타낸다(ICC2, NICNT, WBC).

“인내” – πομονή(휘포모네, 인내, 견고함), 명사, 여성, 단수, 속격

πο(휘포, 아래)+μένω(메노, 머물다)의 합성어로, 어려움, 고난, 스트레스를 피하지 않고 그 아래 머물러 있는 것이 인내이다.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버티거나 견딜 수 있는 능력’ 곧, 인내, 지구력, 강인함, 굳건함, 참을성(BDAG)

‘고난이나 스트레스를 견디는 힘’ 곧, 확고한 인내(BSL)

“위로” – παράκλησις(파라클레시스, 격려, 위로, 간청), 명사, 여성, 단수, 속격

‘다른 사람의 기운을 북돋아 주는 것’ 곧, 위로, 격려(BDAG)

‘인내를 통하여’, ‘위로를 통하여’의 ‘통하여’는 도구적으로 인내와 위로가 소망을 가져오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EGGNT).

인내(πομονή)와 위로(παράκλησις)는 신자들에게 단순한 감정적 안정이 아닌 지속적 소망의 근거를 제공한다.

  1. 기도의 소원(5,6)
    1. 서로 같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시기를 바란다(5)

5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사,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에게 그리스도 예수님을 따라 서로 같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시기를 바란다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이제”

단락을 마무리하는 기도적 소망을 소개한다(Cranfield, EGGNT).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

‘인내의’와 ‘위로의’ 두개의 소유격은 하나님은 인내와 위로의 근원(원천)이시다(Schreiner, EGGNT).

살전 5:23 평강의 하나님이 친히 너희를 온전히 거룩하게 하시고 또 너희의 온 영과 혼과 몸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강림하실 때에 흠 없게 보전되기를 원하노라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사, 너희에게 그리스도 예수님을 따라

“너희에게”

강한 자와 약한 자 모두를 가리킨다(Schreiner, EGGNT).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사, 그리스도 예수님을 따라

그리스도의 본과 뜻을 따라(Schreiner, EGGNT, WBC)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사, 서로 같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시기를 바란다

‘뜻이 같게 하여 주사’ – 같은 것을 생각하게 하시기를 바란다, 동의하게 하시기를 바란다, 조화롭게 살게 하시기를 바란다(BDAG).

‘같은 것을 생각하다’는 단일한 관점을 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EGGNT).

“주사” – 희구법

기도이기도 한 소원을 표현한다(BECNT, NTC, SSA, WBC).

바울은 자신의 기도 소원을 표현함으로 간접적으로 권면의 수단으로 사용한다(Mu, NICNT).

롬 12:16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높은 데 마음을 두지 말고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 스스로 지혜 있는 체 하지 말라

빌 2:2 마음을 같이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서로 같은 것을 생각하게 하시기를 바라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1.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기 위하여(6)

6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한마음과 한 입으로”

사, 한마음으로 한 입으로

“한마음으로”

강력한 연합을 의미하며(Jewett), 첫 번째 성령 충만한 교회의 특징이다(Moo).

“한 입으로”

도구적 용법(Moo, EGGNT)

성도들이 한 목소리(AB, ICC2, NICNT, WBC)로 찬양하고 영광 돌리는 행동을 강조한다.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사,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기 위함이라

“우리 주”

관계를 나타내는 속격(EGGNT)

“영광 돌리다”

습관적 현재(EGG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본문 설교제목 날짜
» 주일연합예배(2025.01.12) file 롬 15:1-6 그리스도의 본을 따라야 할 교회 공동체 2025.01.10
575 주일연합예배(2025.01.05) file 행 2:1-4 성령님 체험의 해 2025.01.04
574 주일연합예배(2024.12.29) file 엡 5:15-21 지혜롭게 사는 법 2024.12.26
573 성탄 축하 예배(2024.12.25) file 눅 1:67-80 사가랴의 예언 찬양 2024.12.24
572 주일연합예배(2024.12.22) file 롬 14:13-23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와 사랑 2024.12.20
571 주일연합예배(2024.12.15) file 롬 14:13-23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와 사랑 2024.12.13
570 주일연합예배(2024.12.08) file 롬 14:1-12 서로 받아들이라 2024.12.06
569 주일연합예배(2024.12.01) file 롬 14:1-12 서로 받아들이라 2024.11.29
568 주일연합예배(2024.11.24) file 롬 13:11-14 밤이 깊고 낮이 가까웠으니 2024.11.22
567 주일연합예배(2024.11.17) file 시편 100편 기쁨과 감사로 드리는 예배 2024.11.15
566 주일연합예배(2024.11.10) file 롬 13:8-10 사랑은 율법의 완성 2024.11.09
565 주일연합예배(2024.11.03) file 롬 13:1-7 그리스도인과 세상 권세 2024.11.01
564 주일연합예배(2024.10.27) file 롬 13:1-7 그리스도인과 세상 권세 2024.10.25
563 주일연합예배(2024.10.20) file 롬 12:9-21 진정한 사랑 2024.10.18
562 전교인 체육대회(2024.10.13) file 엡 4:1-6 성도의 연합 2024.10.11
561 주일연합예배(2024.10.06) file 롬 12:9-21 진정한 사랑 2024.10.04
560 주일연합예배(2024.09.29) file 롬 12:3-8 올바른 은사 사용 2024.09.27
559 주일연합예배(2024.09.22) file 롬 12:3-8 올바른 은사 사용 2024.09.20
558 주일연합예배(2024.09.15) file 롬 12:1-2 삶의 예배 2024.09.13
557 주일연합예배(2024.09.08) file 롬 11:25-36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신비 2024.09.0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