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을 위한 그리스도 예수님의 일꾼
롬 15:14-21
서론:
- 로마교회의 성도들에 대한 확신(14)
14 내 형제들아…나도 확신하노라
사, 이제 내 형제들아 너희에 관하여 나 자신도 확신한다
“이제”
전환 접속사
1:1-17은 도입부, 1:18-15:13은 본론부, 15:14-16:27은 결론부이다.
“내 형제들아”
‘성도들아’가 아닌 ‘형제들아’는 영적인 친밀감을 주는 표현인데, ‘나의’는 특별한 친밀감을 더한다(Cranfield, EGGNT).
“나 자신도”
그가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한 그의 확신을 강조한다(ICC2, NAC, SSA, WBC). 곧, 그들이 자기 도움 없이도 성장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의미를 내포한다(NAC).
다른 사람과 더불어 바울 자신도 확신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이런 표현을 사용했다(옥스포드).
“확신하다” – πείθω(페이도, 설득하다, 확신시키다), 직설법, 완료, 수동태, 1인칭, 단수, 내가 확신한다
단수 1인칭이 ‘나 자신’과 합쳐져서 더욱 강조되었다.
완료 수동태로, ‘무언가에 대해 확신을 얻다’ 곧, 확신하다(BDAG).
완료형은 이미 확신에 이른 상태를 나타낸다.
이 문장은 공동체의 신뢰와 격려의 맥락에서 이해된다.
(무엇을 확신하고 있습니까?)
바울은 로마 성도들의 세가지 성품에 대해 확신하고 있었다.
-
- 선함이 가득하고
14 …너희가 스스로 선함이 가득하고…
사, 너희 자신들도 선함이 가득 차 있고
“너희 자신들도”
성숙한 다른 성도들과 더불어 너희 자신들도
“선함” – ἀγαθωσύνη(아가도쉬네, 선함, 좋음, 관대함), 명사, 여성, 단수, 속격
‘특히 다른 사람들의 복지에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긍정적인 도덕적 성품’ 곧, 선함(BDAG)
‘가장 일반적인 성격의 긍정적인 도덕적 자질’ 곧, 선함(LN)
단순히 도덕적 선함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향한 관심과 사랑을 포함한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덕목으로 해석된다.
“가득하고”
어떤 특성으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를 묘사한다(BDAG). 그리고 ‘선함이’보다 문장 앞에 나와 강조되어 있다(EGGNT).
-
- 지식이 충만하고
14 …모든 지식이 차서…
사, 모든 지식이 충만하며
“지식”
‘어떤 것에 대한 이해나 지적 파악’ 곧, 지식(BDAG)
‘경험과 학습 능력의 결과로 이해에 도달하는 것’ 곧, 지각, 이해(LN)
‘지각과 학습, 추론의 심리적 결과; 때로는 단순히 하나님께서 주신 것’ 곧, 지식(BSL)
영적이고 실천적인 지식, 곧 하나님과 그분의 뜻에 대한 이해를 의미한다.
-
- 서로 권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
14 …서로 권하는 자임을…
사, 또한 서로 권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권하는” – νουθετέω(누데테오, 훈계하다, 가르치다, 충고하다), 부정사, 현재, 능동태
‘부적절한 행동의 회피 또는 중단에 대해 조언하다’ 곧, 충고하다, 경고하다, 가르치다(BDAG).
‘올바른 행동과 신념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다’ 곧, 가르치다(LN).
‘어떤 사람의 행위에 대해 경고하거나 조언하다’ 곧, 충고하다(BSL).
“능력이 있다” – δύναμαι(뒤나마이, 할 수 있다, 가능하다), 분사, 현재, 디포넌트, 남성, 복수, 주격
‘무언가를 경험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다’ 곧, 할 수 있다, 능력이 있다, 가능하다(BDAG).
- 대담하게 편지를 쓴 목적과 이유(15-16)
15 그러나…더욱 담대히 대략 너희에게 썼노니
사, 그러나 몇 가지 점에서 매우 대담하게 내가 너희에게 썼다
“그러나”
대조 접속사(EGGNT)
“대략” – μέρος(메로스, 부분, 몫), 명사, 중성, 단수, 속격
전체와 대조적으로, ‘부분’을 의미하며, 전치사 ἀπὸ(아포) 함께 ‘부분적으로’를 의미하며, 여기서는 ‘몇 가지 점에서’를 의미한다(BDAG, Schreiner).
편지의 앞의 일부를 나타낸다(BECNT, ICC, NAC, NICNT, NTC, WBC)
“매우 담대히” – τολμηρός(톨메로스, 용감하게, 대담하게), 부사
‘대담하게, 감히, 과감히’를 의미하며, 여기서는, 비교급으로, ‘더 대담하게’(BDAG)
“썼다” – γράφω(그라포, 쓰다, 기록하다), 직설법, 과거, 능동태, 1인칭, 단수, 내가 썼다
‘생각을 글로 표현하다’는 의미로, 여기서는 편지로, ‘누군가에게 쓰다’를 의미한다(BDAG).
서신적 부정과거(Wallace)로 이 편지의 앞부분에서 쓴 내용을 가리킨다(BDF, EGGNT).
(대담하게 편지를 쓴 목적은 무엇입니까?)
-
-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15 내가 너희로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다시 생각나게 하려고”
‘누군가에게 어떤 것을 다시 기억하게 하다’ 곧, 생각나게 하다, 상기시키다(BDAG)
‘무언가를 다시 상기시키고 생각하게 하다’ 곧, 상기시키다, 기억하게 하다, 다시 생각하게 하다(LN).
“하려고” – ὡς(호스, ~같이, 처럼, ~로서), 위하여
‘앞선 내용이 수단으로 작용한다는 의미와 함께, 목적을 나타내는 표시’ 곧, 위하여(LN)
바울은 로마교회 성도들로 하여금 이미 알고 있던 진리를 다시 생생하게 마음에 되새기게 하기 위함이라고 밝힌 것이다(옥스포드).
(대담하게 편지를 쓴 이유는 무엇입니까?)
-
- 하나님께서 주신 은혜 때문에
15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로 말미암아
사, 하나님에 의하여 나에게 주어진 은혜 때문에(하나님께서 나에게 주신 은혜 때문에)
“은혜”
‘관대함이 만들어내는 특별한 효과’ 곧, 은혜(호의를 베푸는 행위)(BDAG)
‘자유롭고 관대하게 주어진 것’ 곧, 선물, 은혜로운 선물(LN)
특히 다메섹 사건
“말미암아” – διὰ(디아), 전치사
대격과 함께, 때문에
바울이 사도로서 로마 그리스도인들에게 편지를 쓸 수 있는 권위의 근거를 나타낸다(BECNT, ICC2).
바울의 사도적 권위와 역할이 하나님의 은혜에서 비롯되었음을 나타낸다.
(은혜를 주신 목적은 무엇입니까?)
-
- 이방인들을 위한 그리스도 예수님의 일꾼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16 이 은혜는 곧 나로 이방인을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의 일꾼이 되어…
사, 나로 이방인들을 위한 그리스도 예수님의 종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방인들”
‘이스라엘의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는 그룹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 곧, 이방인, 비신자(BDAG)
“일꾼” – λειτουργός(레이투르고스, 일꾼, 사역자, 돕는 자), 명사, 남성, 단수, 대격
‘행정적 또는 종교적 섬김에 종사하는 사람’ 곧, 공식적인 의미에서, 종(servant, 하인), 사역자(minister)(BDAG)
‘특별한 섬김을 수행하는 사람’ 곧, 종(LN)
‘하나님을 섬기는 일을 하는 사람’ 곧, 하나님의 종(BSL)
Servant(종, 하인) – 누군가의 명령이나 요구에 따라 일을 하는 사람
Minister(봉사자, 사역자) – 단순히 일을 하는 것을 넘어, 특정한 목적이나 신념을 가지고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
용례: 하나님의 일꾼(롬 13:6), 그의 사역자(히 1:7), 돕는 자(빌 2:25)
(어떻게 함으로 그리스도 예수님의 일꾼이 되게 하시려는 것입니까?)
16 …하나님의 복음의 제사장 직분을 하게 하사…
사, 하나님의 복음의 제사장 직무를 수행함으로
“하나님의 복음”
“하나님의”
이 소유격은 복음의 기원이 하나님께 있음을 나타낸다.
“복음”
‘하나님의 인간을 위한 좋은 소식’ 곧, 선포로서의 ‘좋은 소식’(BDAG)
신약성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활동을 가리키는 데 한정적으로 사용되었다(BDAG).
“제사장 직분을 하게 하다” – ἱερουργέω(히에루르게오, 제사장 직무를 수행하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단수, 대격, 제사장 직무를 수행함으로
‘어떤 제의적 또는 성스러운 역할을 수행하다’ 곧, 거룩한 섬김을 수행하다, 제사장으로 활동하다(BDAG).
바울은 특별히 하나님의 사역을 위하여 성별된 자들에게 사용되는 이 단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특별한 임무를 밝힌다(옥스포드).
‘제사장 직무를 수행하다’는 ‘제사장의 방식으로 섬기다’ 또는 ‘제사장적 섬김으로 사역하다’는 의미이다(옥스포드).
이 구절은 바울이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는 자신의 사역을 구약의 제사장들이 예배와 희생을 드리는 것에 비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그의 복음 사역이 단순한 설교를 넘어, 하나님께 드려지는 거룩한 헌신의 행위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하나님의 복음의 제사장 직무를 수행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
- 이방인들을 하나님께 드리는 제물로 삼기 위하여
16 …이방인을 제물로 드리는 것이…받으실 만하게 하려 하심이라
사, 이방인들의 제물이 받으실 만하게 되도록 하시기 위하여
“이방인들의 제물”
‘이방인들로 구성된 제물’ 곧, 그리스도인이 된 이방인들(BDAG)
‘이방인들의’는 단순 동격 소유격으로, 이방인들이 제물임을 명시한다(Schreiner, EGGNT).
이는 ‘이방인들이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제물이 되도록 하시기 위해서’라는 의미이다.
“제물” – προσφορά(프로스포라, 바침, 예물, 제사, 제물), 명사, 여성, 단수, 주격
‘자발적으로 드려진 것’ 곧, 선물, 증정품(BDAG)
‘종교적인 활동에서 하나님께 드려진 것’ 곧, 제물, 희생(LN)
“받으실 만하게 하려 하심이라”
사, 받으실 만하게 되도록 하시기 위하여
또는 하나님께 받아들여질 만하게 하시기 위하여
‘ἵνα + 가정법’은 목적을 나타낸다.
(어떻게 받으실 만하게 되었습니까?)
16 … 성령 안에서 거룩하게 되어…
사, 성령님 안에서 거룩하게 됨으로
“거룩하게 되어” – ἁγιάζω(하기아조, 거룩하게 하다, 성별하다), 분사, 완료, 수동태, 여성, 단수, 주격
‘이 단어의 종교적 도덕적 연관성 모두에서, 사람을 거룩한 것의 내적 범주에 포함시키다’ 곧, 거룩하게 하다, 헌신하다, 성화하다(BDAG).
“성령 안에서”
‘성령’은 여격으로, 거룩하게 하시는 행위의 주체이심을 나타낸다(Schreiner, EGG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