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나님의 일에 대하여
17 그러므로 내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일에 대하여 자랑하는 것이 있거니와
사, 그러므로 나는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에 관한 일들에 대하여 자랑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Ἐν(엔, 안에서) + 여격(그리스도 예수)은 자랑의 대상을 나타낸다(Harris, EGGNT).
‘그리스도께서 그를 통하여 행하신 일을 자랑하는 것(BECNT, ICC2, NAC, NLT)’을 의미한다.
“안에서”
특히 바울 서신이나 요한 서신에서, ἐν(엔, 안에) 용어의 참조 대상이 지배적 영향을 미치는 존재로 간주되는 친밀한 개인적 관계를 나타낸다(BDAG).
“자랑하는 것” – καύχησις(카우케시스, 자랑, 자랑하기), 명사, 여성, 단수, 대격, 자랑을
‘어떤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는 행위’ 곧, 자랑(BDAG)
‘자랑’ 앞에 붙은 정관사는 지시 형용사처럼 역할을 하며(이 자랑할 것), 16절을 의미한다(Cranfield, EGGNT).
“하나님의 일에 대하여” – τὰ πρὸς τὸν θεόν(타 프로스 톤 데온, 하나님에 관한 일들에 대하여)
정관사는 전치사구를 명사화한다(Moo, EGGNT).
‘하나님에 관한 일들’ 또는 부사적 목적격으로, ‘하나님에 관한 일들에 대하여’(BDAG)
그의 사역을 말한다(BECNT, Mor).
“있거니와” – ἔχω(에코, 가지다, 있다, 잉태하다, 얻다), 직설법, 현재, 능동태, 1인칭, 단수, 나는 늘 가지고 있다
지속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습관적 현재(Wallace, EGGNT)
-
- 그리스도께서 나를 통하여 성취하신 것들에 대하여
18 그리스도께서 이방인들을 순종하게 하기 위하여 나를 통하여 역사하신 것 외에는 내가 감히 말하지 아니하노라…
사, 이방인들의 순종을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나를 통하여 성취하지 않으신 어떤 것도 나는 감히 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를 통하여”
도구적 의미(Jewett, EGGNT)
“역사하신” – κατεργάζομαι(카테르가조마이, 성취하다, 행하다, 만들다), 직설법, 과거, 디포넌트, 3인칭, 단수, 그가 성취했다
‘무언가를 행함으로 결과를 가져오다’ 곧, 성취하다, 달성하다, 행하다(BDAG).
(나를 통하여 어떻게 성취하셨는가?)
-
- 성령의 능력으로 이루어진 표적과 기사를 통한 편만한 복음 전파
18 …그 일은 말과 행위로
사, 말과 행위로,
말과 행위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용어이다(Cranfield, EGGNT).
19 표적과 기사의 능력으로 성령의 능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두루 행하여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표적과 기사의 능력으로 성령의 능력으로”
Ἐν(엔’ ~으로) + 여격(능력)는 수단을 나타낸다(Dunn, EGGNT).
“표적” – σημεῖον(세메이온, 표적, 징조, 이적), 명사, 중성, 복수, 속격
‘초월적인 권능의 개입을 나타내거나 이를 확증하는 사건’ 곧, 기적, 징조(BDAG)
신적 기원을 가진 기적으로, 하나님 자신이나 그리스도 혹은 하나님의 사람이 행한 기적(BDAG)
‘어떤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사건’ 곧, 표적(LN)
“기사” – τέρας(테라스, 경이, 기사), 명사, 중성, 복수, 속격
‘초월적 연관성으로 인해 놀라움을 주는 어떤 것’ 곧, 기적, 징조, 전조, 놀라운 현상(BDAG)
‘비범한 징조, 특히 하늘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임박한 사건을 예고하는 데 사용됨’ 곧, 징조, 표적(LN)
'표적'은 기적적인 사건의 목적이나 의미를 가리키는 반면, '기사'은 특이하거나 경이로운 특성에 초점을 맞춰다(Mor, NAC, NICNT).
‘성령의 능력으로 표적과 기사가 행해졌다(NAC, NTC)
(그래서 어떻게 했습니까?)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두루 행하여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사,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과 그 주위에서부터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완성했다(완전히 선포했다)
“두루” – κύκλῳ(퀴클로, 주위에, 도처에, 두루), 명사, 남성, 단수, 여격
‘순환의 완성’과 관련이 있는 단어로, 주위에, 주변에, 사방에(BDAG)
“일루리곤”
이탈리아 반도 맞은편에 위치한 지역(BDAG)
마게도냐 북서쪽에 위치한 로마 속주(라이프)
바울의 선교 활동에 대한 유일하게 언급된 곳이다. 바울은 아마도 그가 횡단한 광활한 지역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했을 것이다(BDAG).
바울은 제3차 선교여행 당시 마게도냐의 데살로니가와 베뢰아를 전도한 후 남부 아가야 주(州)로 향하기에 앞서 이곳을 방문한 것으로 전해진다(라이프).
“그리스도의 복음”
속격 구조(그리스도의)는 복음이 그리스도에 관한 것임을 의미한다(AB, ICC2, SSA, TH, WBC).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 πληρόω(플레로오, 이루어지다, 성취하다, 채우다), 부정사, 완료, 능동태, 동사적 용법으로, 완성했다(완전히 선포했다)
‘이미 시작된 것을 완성하다’ 곧, 완성(완료)하다, 끝내다(BDAG).
‘가장 먼 지역까지 선포함으로 복음 전파를 완성했다’는 의미(BDAG)
‘메시지의 내용을 완전히 전달하다’ 곧, 선포하다, 완전히 말하다, 완전히 선포하다(LN).
‘만족시키다, 용기를 완전히 채운다’는 의미로, 만족시키다, 가득 채우다(BSL).
그는 그 지역에서 자신의 사도적 사명 또는 개척 사역을 완료했다는 의미이다(ICC2, NAC).
- 선교 전략(20-21)
- 그리스도의 이름을 알지 못하는 곳에 복음을 전파함
20 또 내가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곳에는 복음을 전하지 않기를 힘썼노니…
사, 그리고 이와 같이 내가 그리스도의 이름이 불리어지지 않은 곳에 복음을 전하기를 열망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바울의 선교 전략에 대한 설명을 예고한다(Cranfield, EGGNT).
“이름을 부르는” – ὀνομάζω(오노마조, 이름을 부르다, 부르다), 직설법, 과거, 수동태, 3인칭, 단수, 이름이 불리어지다
‘알려지다’는 의미로, ‘이름이 불리어지다’(BDAG).
알려지다(LN)
잘 알려지다 = 이름을 부르다(BSL).
“힘썼노니” – φιλοτιμέομαι(필로티메오마이, 야망을 가지다), 분사, 현재, 디포넌트, 남성, 단수, 대격, 열망했다
(섬기는 개념에 중점을 두고)큰 뜻을 품다, 영광으로 생각하다, 열망하다(BDAG).
‘어떤 목표에 대한 강한 야망을 암시하며, 어떤 것을 진심으로 열망하다’ 곧, 열망하다, 어떤 것을 자신의 야망으로 삼다(LN).
-
- 다른 사람의 터 위에 세우지 않음
20 …이는 남의 터 위에 건축하지 아니하려 함이라
사, 남의 터(기초) 위에 건축하지 않기 위하여
“터” – θεμέλιος(데멜리오스, 주추, 기초, 터, 기초석), 명사, 남성, 단수, 대격
‘어떤 일이 발생하거나 존재하게 되는 기초’ 곧, 토대(기초, 설립, 창립)(BDAG)
여기서는, 어떤 것의 기본적인 시작, 교회의 설립(BDAG)
‘건물이 세워지는 곳’ 곧, 기초(LN)
“건축하다” – οἰκοδομέω(오이코도메오, 짓다, 세우다, 강하게 하다), 가정법, 현재, 능동태, 1인칭, 단수
‘초월적인 의미에서 건축하다’ 곧, 건축하다: 기독교 회중, 교회의 세움(BDAG)
-
- 예언의 성취
21 기록된 바 주의 소식을 받지 못한 자들이 볼 것이요 듣지 못한 자들이 깨달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사, 그러나 기록된 것과 같이, 그분에 대하여 알려지지 않은 자들이 바라볼 것이며 듣지 못한 자들이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기록된 것과 같이”
사 52:15의 인용
“소식을 받다” – ἀναγγέλλω(아낭겔로, 말하다, 알리다, 밝히 이르다, 전하다), 직설법, 과거, 수동태, 3인칭, 단수, 알려지다
‘정보를 제공하다’ 곧, 공개하다, 알리다, 선포하다, 가르치다(BDAG).
“볼 것이요” – ὁράω(호라오, 보다, 보이다, 나타나다, 주의하다), 직설법, 미래, 중간태, 3인칭, 복수, 그들이 볼 것이다
‘정신적으로 또는 영적으로 지각하다’ 곧, 지각하다, 인식하다, 이해하다(BDAG).
여기서는, 인지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바라보다(BDAG).
(그리스도에 대하여) 들어 본적이 없는 사람들이 그를 바라볼 것이다(BDAG).
‘지각의 사건에 초점을 맞추어, 정보를 획득하다’ 곧, 배우다, 알아내다(LN).
이해하다 = 보다(BSL)
“깨달으리라” – συνίημι(쉬니에미, 이해하다, 깨닫다), 직설법, 미래, 능동, 3인칭, 복수
이해하다(BDAG, LN, BSL).
그들이 듣고 본다는 것은 사 52:15에 묘사된 주님의 종 그리스도에 대한 메시지를 보고 이해할 것을 의미한다(AB, BECNT, ICC, NAC, NICNT, TN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