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방문 계획
롬 15:22-33
서론:
- 로마 방문 이유와 목적
- 전부터 세운 계획이었기 때문에(22)
22 그러므로 또한 내가 너희에게 가려 하던 것이 여러 번 막혔더니
“그러므로”
앞의 내용에서 추론을 이끌어 내는 접속사(EGGNT)
자신의 사역을 성취한 것에 대하여 곧, “내가 예루살렘과 그 주위에서부터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완성했다(완전히 선포했다)(19)”는 것을 말한다(BECNT, ICC2, NICNT, WBC).
“여러 번 막혔더니”
사, 많이 방해를 받아왔다
“여러 번” – πολύς(폴뤼스, 많은, 큰, 위대한), 형용사, 중성, 복수, 대격, 많이
“막혔더니” – ἐγκόπτω(엥콮토, 지체하다, 방해하다), 직설법, 미완료, 수동태, 1인칭, 단수, 내가 계속해서 방해를 받았다
‘진행을 느리게 하거나 어렵게 만들다’, 곧, 방해하다, 좌절시키다(BDAG).
이 수동태에서 ‘행위의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첫째, 사탄적 반대(HNTC, Jewett, EGGNT)
살전 2:18 그러므로 나 바울은 한번 두번 너희에게 가고자 하였으나 사탄이 우리를 막았도다
둘째, 하나님께서 막으심
동부 지중에서 하나님의 일이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이다(AB, BECNT, ICC1, ICC2, NICNT, WBC).
신적 수동태로, 아직 끝나지 않은 사역 때문에 하나님께서 막으셨다(BECNT).
참조, 그러나 “이제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기 때문에(23)” 선교지를 확장하려고 한다는 의미
행 16:6 성령이 아시아에서 말씀을 전하지 못하게 하시거늘 그들이 브루기아와 갈라디아 땅으로 다녀가
복음 전파는 종종 방해를 받을 수 있으나 이는 사명의 일부로 받아들여야 하며 하나님의 때를 기다려야 한다.
-
- 선교 확장을 위해(23,24)
- 이제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기 때문에
- 선교 확장을 위해(23,24)
23 이제는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고…
사, 그리고 이제는 더 이상 이 지역들에 장소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제는 더 이상…없다”
'νυνὶ(뉘니, 이제)’와 'μηκέτι(메케티, 더 이상~아니다)’의 조합은 시간적 대조를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하며(EGGNT),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특정 시점에서의 사역 완료를 나타낸다. 이는 선교 사역이 하나님의 계획과 시간표에 따라 진행됨을 보여준다.
“일할 곳” – τόπος(토포스, 장소, 위치), 명사, 남성, 단수, 대격
‘어떤 것을 하기에 유리한 환경’ 곧, 가능성, 기회(BDAG)
‘어떤 상황이나 기회의 가능성’ 곧, 가능성, 기회(LN)
문맥 상 ‘선교 사역을 위한 장소나 기회’를 가리킨다.
“없고” – ἔχω(에코, 가지다, 있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단수, 주격, 없기 때문이다
상황 분사(BDF, Wallace, Smyth)의 원인의 부사적 분사(AB, ICC2, NICNT, SSA, WBC, EGGNT)로, 없기 때문이다
‘이제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다’는 것은 그 지역 개척 선교사로서 그의 사역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한다(AB, BECNT, ICC2, NAC, NICNT, St, WBC).
-
-
- 로마교회 성도들과 교제 후에 그들이 서바나로 보내주기를 바라고
-
23 …또 여러 해 전부터 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너희에게 가기를 바라고 있었으니
“또 여러 해 전부터…너희에게 가기를 바라고 있었으니”
사, 그리고 수년 동안 너희에게 가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열망” – ἐπιποθία(에피포디아, 열망, 욕구), 명사, 여성, 단수, 대격
동경, 갈망, 열망(BDAG)
‘부족함을 인식한다는 의미로 무언가에 대한 갈망’ 곧, 갈망, 열망(LN)
“있었으니” – ἔχω(에코, 가지다, 있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단수, 주격,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황 분사(BDF, Wallace, Smyth)의 원인의 부사적 분사(AB, ICC2, NICNT, SSA, WBC, EGGNT)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언제든지” – ὡς ἄν(호스 안)
문맥에 따라, ‘가능한 한’, ‘어떤 방식으로든’, ‘언제든지’로 해석될 수 있는 접속사(EGGNT)
“서바나”
당시 바울에게는 스페인은 복음이 전해져야 할 땅 끝이라고 인식되었을 것이고,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는 예수님의 마지막 유언적 말씀을 이행하려고 애썼을 것이다(옥스포드).
그러나 바울이 실재로 스페인에 방문했는지 확인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HNTC, ICC1, NAC, NICNT, WBC).
원문에서는 24절에 속한다.
24 이는 지나가는 길에 너희를 보고 먼저 너희와 사귐으로 얼마간 기쁨을 가진 후에 너희가 그리로 보내주기를 바람이라
사, 이는 내가 바라기 때문이다 지나가면서 너희를 보고 먼저 한 동안 너희의 교제를 즐긴(맛본, 누린) 후에 너희에 의하여 그곳으로 보내지기를
“지나가는 길에” – διαπορεύομαι(디아포류오마이, 지나가다, 통과하다), 분사, 현재, 디포넌트, 남성, 단수, 주격
‘지리적 영역 내의 한 부분 또는 지역에서 다른 부분 또는 지역으로 이동에 대하여’, 곧, 통과하다, 경유하다(BDAG).
바울이 로마에 오랫동안 머물지 않고 잠시 방문하기 원한 이유는 로마 교회가 이미 든든히 세워진 상태였기 때문이다.
1:8 먼저 내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너희 모든 사람에 관하여 내 하나님께 감사함은 너희 믿음이 온 세상에 전파됨이로다
15:14 내 형제들아 너희가 스스로 선함이 가득하고 모든 지식이 차서 능히 서로 권하는 자임을 나도 확신하노라
“보고”
‘방문할 목적으로 보다’ 곧, 보러 가다, 방문하다(BDAG).
‘우정을 바탕으로 도움이 되는 의도를 가지고 사람을 만나러 가다’ 곧, 방문하다, 보러 가다(LN).
“너희에 의하여”
행위의 속격으로, 최종적 행위의 주체를 나타낸다(EGGNT).
“보내주기를” – προπέμπω(프로펨토, 길을 떠나보내다, 호위하다), 부정사, 과거, 수동태
‘여행 중에 있는 사람을 돕다’ 곧, 동행자와 여행 수단을 마련하여, 음식과 돈과 함께 ‘길을 떠나보내다’(BDAG).
그는 여정에서 도움받기를 바랐다(BECNT, Gdt, Mor, TH).
이 단어는 선교 지원을 가리키는 문맥에서도 사용되었으며(EGGNT), 초대 교회에서 선교사들을 지원하는 행위를 묘사한다.
행 15:3; 20:38; 21:5; 고전 16:6; 고후 1:16; 딛 3:13
행 21:5 이 여러 날을 지낸 후 우리가 떠나갈새 그들이 다 그 처자와 함께 성문 밖까지 전송하거늘 우리가 바닷가에서 무릎을 꿇어 기도하고
고후 1:16 너희를 지나 마게도냐로 갔다가 다시 마게도냐에서 너희에게 가서 너희의 도움으로 유대로 가기를 계획하였으니
“사귐으로…기쁨을 가진 후에” – ἐμπί(μ)πλημι(엠피플레미, 채우다, 만족하다), 가정법, 과거, 수동태, 1인칭, 단수
너희의 교제를 즐긴(맛본, 누린) 후에(BDAG)
‘욕구를 충족시킨다는 의미로, 무언가를 온전하고 완전하게 즐기다’ 곧, 즐기다, 맛보다(LN).
함께하는 기쁨을 의미한다.
-
- 그리스도의 충만한 복을 가지고 가기 위해(29)
29 내가 너희에게 나아갈 때에 그리스도의 충만한 복을 가지고 갈 줄을 아노라
사, 그리고 나는 안다 너희에게 갈 때에 그리스도의 복의 충만함을 가지고 갈 줄을
“아노라”
확고한 확신을 나타낸다(Cranfield, EGGNT).
“충만한 복”
사, 복의 충만함
“복” – εὐλογία(율로기아, 복, 선물, 찬송), 명사, 여성, 단수, 속격, 복의
‘하나님이나 그리스도께서 주신 은혜로서, 하나님의 복주시는 활동’(BDAG)
“충만한” – πλήρωμα(플레로마, 완성, 충만), 명사, 여성, 단수, 여격, 충만함
1:11 내가 너희 보기를 간절히 원하는 것은 어떤 신령한 은사를 너희에게 나누어 주어 너희를 견고하게 하려 함이니
“어떤 신령한 은사”
사, 어떤 종류의 영적인 은사(선물)
원문은 세 단어 사이에 다른 단어들을 넣어 세 단어를 분리시켰다. 이것은 수사적 기법으로 분리된 요소에 더 큰 강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BDF, EGGNT).
‘영적인 은사’란 성령께서 나누어 주시는 은사나 영적인 유익 또는 복음에 대한 가르침일 수 있다.
“너희에게”
이 여격은 유익을 위한 표현으로, ‘너희의 유익을 위해’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