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방문 계획
롬 15:22-33
서론:
- 로마 방문 이유와 목적
- 전부터 세운 계획이었기 때문에(22)
22 그러므로 또한 내가 너희에게 가려 하던 것이 여러 번 막혔더니
“그러므로”
앞의 내용에서 추론을 이끌어 내는 접속사(EGGNT)
자신의 사역을 성취한 것에 대하여 곧, “내가 예루살렘과 그 주위에서부터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완성했다(완전히 선포했다)(19)”는 것을 말한다(BECNT, ICC2, NICNT, WBC).
“여러 번 막혔더니”
사, 많이 방해를 받아왔다
“여러 번” – πολύς(폴뤼스, 많은, 큰, 위대한), 형용사, 중성, 복수, 대격, 많이
“막혔더니” – ἐγκόπτω(엥콮토, 지체하다, 방해하다), 직설법, 미완료, 수동태, 1인칭, 단수, 내가 계속해서 방해를 받았다
‘진행을 느리게 하거나 어렵게 만들다’, 곧, 방해하다, 좌절시키다(BDAG).
이 수동태에서 ‘행위의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첫째, 사탄적 반대(HNTC, Jewett, EGGNT)
살전 2:18 그러므로 나 바울은 한번 두번 너희에게 가고자 하였으나 사탄이 우리를 막았도다
둘째, 하나님께서 막으심
동부 지중에서 하나님의 일이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이다(AB, BECNT, ICC1, ICC2, NICNT, WBC).
신적 수동태로, 아직 끝나지 않은 사역 때문에 하나님께서 막으셨다(BECNT).
참조, 그러나 “이제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기 때문에(23)” 선교지를 확장하려고 한다는 의미
행 16:6 성령이 아시아에서 말씀을 전하지 못하게 하시거늘 그들이 브루기아와 갈라디아 땅으로 다녀가
복음 전파는 종종 방해를 받을 수 있으나 이는 사명의 일부로 받아들여야 하며 하나님의 때를 기다려야 한다.
-
- 선교 확장을 위해(23,24)
- 이제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기 때문에
- 선교 확장을 위해(23,24)
23 이제는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고…
사, 그리고 이제는 더 이상 이 지역들에 장소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제는 더 이상…없다”
'νυνὶ(뉘니, 이제)’와 'μηκέτι(메케티, 더 이상~아니다)’의 조합은 시간적 대조를 더욱 강조하는 역할을 하며(EGGNT),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특정 시점에서의 사역 완료를 나타낸다. 이는 선교 사역이 하나님의 계획과 시간표에 따라 진행됨을 보여준다.
“일할 곳” – τόπος(토포스, 장소, 위치), 명사, 남성, 단수, 대격
‘어떤 것을 하기에 유리한 환경’ 곧, 가능성, 기회(BDAG)
‘어떤 상황이나 기회의 가능성’ 곧, 가능성, 기회(LN)
문맥 상 ‘선교 사역을 위한 장소나 기회’를 가리킨다.
“없고” – ἔχω(에코, 가지다, 있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단수, 주격, 없기 때문이다
상황 분사(BDF, Wallace, Smyth)의 원인의 부사적 분사(AB, ICC2, NICNT, SSA, WBC, EGGNT)로, 없기 때문이다
‘이제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다’는 것은 그 지역 개척 선교사로서 그의 사역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한다(AB, BECNT, ICC2, NAC, NICNT, St, WBC).
-
-
- 로마교회 성도들과 교제 후에 그들이 서바나로 보내주기를 바라고
-
23 …또 여러 해 전부터 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너희에게 가기를 바라고 있었으니
“또 여러 해 전부터…너희에게 가기를 바라고 있었으니”
사, 그리고 수년 동안 너희에게 가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열망” – ἐπιποθία(에피포디아, 열망, 욕구), 명사, 여성, 단수, 대격
동경, 갈망, 열망(BDAG)
‘부족함을 인식한다는 의미로 무언가에 대한 갈망’ 곧, 갈망, 열망(LN)
“있었으니” – ἔχω(에코, 가지다, 있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단수, 주격,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황 분사(BDF, Wallace, Smyth)의 원인의 부사적 분사(AB, ICC2, NICNT, SSA, WBC, EGGNT)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언제든지” – ὡς ἄν(호스 안)
문맥에 따라, ‘가능한 한’, ‘어떤 방식으로든’, ‘언제든지’로 해석될 수 있는 접속사(EGGNT)
“서바나”
당시 바울에게는 스페인은 복음이 전해져야 할 땅 끝이라고 인식되었을 것이고,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는 예수님의 마지막 유언적 말씀을 이행하려고 애썼을 것이다(옥스포드).
그러나 바울이 실재로 스페인에 방문했는지 확인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HNTC, ICC1, NAC, NICNT, WBC).
원문에서는 24절에 속한다.
24 이는 지나가는 길에 너희를 보고 먼저 너희와 사귐으로 얼마간 기쁨을 가진 후에 너희가 그리로 보내주기를 바람이라
사, 이는 내가 바라기 때문이다 지나가면서 너희를 보고 먼저 한 동안 너희의 교제를 즐긴(맛본, 누린) 후에 너희에 의하여 그곳으로 보내지기를
“지나가는 길에” – διαπορεύομαι(디아포류오마이, 지나가다, 통과하다), 분사, 현재, 디포넌트, 남성, 단수, 주격
‘지리적 영역 내의 한 부분 또는 지역에서 다른 부분 또는 지역으로 이동에 대하여’, 곧, 통과하다, 경유하다(BDAG).
바울이 로마에 오랫동안 머물지 않고 잠시 방문하기 원한 이유는 로마 교회가 이미 든든히 세워진 상태였기 때문이다.
1:8 먼저 내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너희 모든 사람에 관하여 내 하나님께 감사함은 너희 믿음이 온 세상에 전파됨이로다
15:14 내 형제들아 너희가 스스로 선함이 가득하고 모든 지식이 차서 능히 서로 권하는 자임을 나도 확신하노라
“보고”
‘방문할 목적으로 보다’ 곧, 보러 가다, 방문하다(BDAG).
‘우정을 바탕으로 도움이 되는 의도를 가지고 사람을 만나러 가다’ 곧, 방문하다, 보러 가다(LN).
“너희에 의하여”
행위의 속격으로, 최종적 행위의 주체를 나타낸다(EGGNT).
“보내주기를” – προπέμπω(프로펨토, 길을 떠나보내다, 호위하다), 부정사, 과거, 수동태
‘여행 중에 있는 사람을 돕다’ 곧, 동행자와 여행 수단을 마련하여, 음식과 돈과 함께 ‘길을 떠나보내다’(BDAG).
그는 여정에서 도움받기를 바랐다(BECNT, Gdt, Mor, TH).
이 단어는 선교 지원을 가리키는 문맥에서도 사용되었으며(EGGNT), 초대 교회에서 선교사들을 지원하는 행위를 묘사한다.
행 15:3; 20:38; 21:5; 고전 16:6; 고후 1:16; 딛 3:13
행 21:5 이 여러 날을 지낸 후 우리가 떠나갈새 그들이 다 그 처자와 함께 성문 밖까지 전송하거늘 우리가 바닷가에서 무릎을 꿇어 기도하고
고후 1:16 너희를 지나 마게도냐로 갔다가 다시 마게도냐에서 너희에게 가서 너희의 도움으로 유대로 가기를 계획하였으니
“사귐으로…기쁨을 가진 후에” – ἐμπί(μ)πλημι(엠피플레미, 채우다, 만족하다), 가정법, 과거, 수동태, 1인칭, 단수
너희의 교제를 즐긴(맛본, 누린) 후에(BDAG)
‘욕구를 충족시킨다는 의미로, 무언가를 온전하고 완전하게 즐기다’ 곧, 즐기다, 맛보다(LN).
함께하는 기쁨을 의미한다.
-
- 그리스도의 충만한 복을 가지고 가기 위해(29)
29 내가 너희에게 나아갈 때에 그리스도의 충만한 복을 가지고 갈 줄을 아노라
사, 그리고 나는 안다 너희에게 갈 때에 그리스도의 복의 충만함을 가지고 갈 줄을
“아노라”
확고한 확신을 나타낸다(Cranfield, EGGNT).
“충만한 복”
사, 복의 충만함
“복” – εὐλογία(율로기아, 복, 선물, 찬송), 명사, 여성, 단수, 속격, 복의
‘하나님이나 그리스도께서 주신 은혜로서, 하나님의 복주시는 활동’(BDAG)
“충만한” – πλήρωμα(플레로마, 완성, 충만), 명사, 여성, 단수, 여격, 충만함
1:11 내가 너희 보기를 간절히 원하는 것은 어떤 신령한 은사를 너희에게 나누어 주어 너희를 견고하게 하려 함이니
“어떤 신령한 은사”
사, 어떤 종류의 영적인 은사(선물)
원문은 세 단어 사이에 다른 단어들을 넣어 세 단어를 분리시켰다. 이것은 수사적 기법으로 분리된 요소에 더 큰 강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BDF, EGGNT).
‘영적인 은사’란 성령께서 나누어 주시는 은사나 영적인 유익 또는 복음에 대한 가르침일 수 있다.
“너희에게”
이 여격은 유익을 위한 표현으로, ‘너희의 유익을 위해’를 의미한다.
- 로마 방문 전 예루살렘 방문 목적
25 그러나 이제는 내가 성도를 섬기는 일로 예루살렘에 가노니
사, 그러나 이제 나는 성도들을 섬기기 위하여 예루살렘에 간다
“섬기는 일로” – διακονέω(디아코네오, 수종들다, 섬기다, 봉사하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단수, 주격, 섬기기 위하여
‘중개자 역할을 하다’ 곧, 중개인/’대리인 역할을 하다’, 명시적이든 묵시적이든 중개 기능을 통해 ‘자신의 섬김을 제공하다’(BDAG).
바울이 구제 헌금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음을 나타낸다(Jewett, EGGNT).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분사(Wallace, EGGNT, AB, BECNT, ICC2, NICNT)
이 구절은 바울이 로마 방문을 지연시킬 만큼 이방인 교회와 예루살렘 교회의 연합의 중요성을 잘 나타낸다.
“가노니” – 직설법, 현재, 디포넌트, 1인칭, 단수
‘그는 이제 막 그 여행을 떠나려던 참이었다’는 의미(AB, ICC2, NAC, NICNT, St, WBC)
-
- 마게도냐와 아가야 성도들의 구제헌금을 전달함으로(26)
26 이는 마게도냐와 아가야 사람들이 예루살렘 성도 중 가난한 자들을 위하여 기쁘게 얼마를 연보하였음이라
사, 이는 마게도냐와 아가야가 어떤 교제하기를 기쁘게 여겼기 때문이다 예루살렘에 있는 성도들 중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어떤 교제”
“어떤”
특정한 종류의 교제(구제헌금을 통한 사랑의 교제)를 암시한다.
“교제” – κοινωνία(코이노니아, 교제, 사귐, 참여), 명사, 여성, 단수, 대격
‘상호 관심사와 나누는 것을 포함하는 친밀한 관계’ 곧, 교제, 친교, 친밀한 관계(BDAG)
여기서는, 교제의 표시, 형제 연합의 증거, 곧 선물이나 기부(구제헌금)(BDAG)
‘기꺼이 나누어지는 것’ 곧, 기꺼이 주는 선물, 준비된 헌금(LN)
“하기를” – ποιέω(포이에오, 행하다, 만들다), 부정사, 과거, 중간태
중간태로, 스스로 어떤 일을 행하다(BDAG). 여기서는 ‘교제하다’는 의미로, 주어가(마게도냐와 아가야 교회) 주도적이고 자발적으로 교제를 원했음을 나타낸다.
“기쁘게” – εὐδοκέω(유도케오, 기뻐하다, 매우 좋아하다, 선택하다), 직설법, 과거, 능동태, 3인칭, 복수, 그들이 기쁘게 여겼다
‘무언가를 좋은 것으로 여기고 선택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다’ 곧, 동의하다, 결정하다, 결의하다(BDAG).
여기서는, ‘더 원하다, 좋아하다’(BDAG).
이는 마게도냐와 아가야 교회가 그 지역 유대인들로부터 적지 않은 박해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결정했음을 나타낸다.
고후 8:1 형제들아 하나님께서 마게도냐 교회들에게 주신 은혜를 우리가 너희에게 알리노니 2 환난의 많은 시련 가운데서 그들의 넘치는 기쁨과 극심한 가난이 그들의 풍성한 연보를 넘치도록 하게 하였느니라
“가난한 사람들”
“성도”
‘하나님께 속한 자들’ 곧, ‘하나님의 백성’(BDAG)
‘성도들 중’은 부분 속격으로,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낸다(EGGNT, AB, BECNT, ICC2, NICNT, WBC).
가난한 이유가 명확하게 밝혀지고 있지는 않지만, 당시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은 유대교나 유대인 공동체로부터 축출당하므로 생계에 어려움이 생겼을 것이다.
이 구절은 가난한 예루살렘교회 성도들을 섬기는 일과 더불어 이방인 교회와 예루살렘교회의 연합에 더 큰 의미가 있다.
고전 12:13 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다 한 성령으로 침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
-
- 기쁨과 빚진 자의 마음으로(27,28)
27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또한 저희는 그들에게 빚진 자니 만일 이방인들이 그들의 영적인 것을 나눠 가졌으면 육적인 것으로 그들을 섬기는 것이 마땅하니라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또한 저희는 그들에게 빚진 자니”
사, 이는 저들은 기뻐했고 저들은 그들에게(예루살렘 교회) 빚진 자이기 때문이다
“기뻐서 했다”
이 단어의 반복은 마게도냐와 아가야 교회 성도들의 자발적인 결정을 더욱 강화한다(Cranfield, EGGNT).
“빚진 자”
도덕적 의무의 뉘앙스를 전달한다(Schreiner, EGGNT).
저들은 그들을 도와야 할 도덕적 의무가 있었지만 강압 없이 그렇게 했다(BECNT, NICNT, WBC).
1:14 헬라인이나 야만인이나 지혜 있는 자나 어리석은 자에게 다 내가 빚진 자라
“만일 이방인들이 그들이 영적인 것을 나눠 가졌으면”
사, 만일 이방인들이 그들의(예루살렘 교회) 영적인 것들을 나눠 가졌으면
“영적인 것” – πνευματικός(프뉴마티코스, 신령한, 영적인), 형용사, 중성, 복수, 여격, 형용사의 명사적 용법으로, 영적인 것들
‘신적인 영과 관련이 있는’ 곧, 신적인 영에 의하여 발생되거나 충만한, 신적인 영과 관련되거나 그에 상응하는(BDAG), 여기서 신적인 영은 성령으로, ‘복음’, ‘영적 가르침’이나 ‘영적인 은사’를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
“나눠 가졌으면”
‘함께 나누다’, ‘참여하다’는 의미로, 자기 ‘몫을 받다’는 의미를 포함한다(EGGNT).
“육적인 것으로 그들을 섬기는 것이 마땅하니라”
사, 그들은(마게도냐와 아가야 교회) 육적인 것들로도 그들을(예루살렘 교회) 섬겨야 한다
“육적인 것” – σαρκικός(사르키코스, 육체의, 물질적인, 육체적), 형용사, 중성, 복수, 여격, 물질적인
‘물질적인 것 또는 육체적 영역에 속하는 것과 관련된’ 곧, 물질적, 육체적, 인간적, 육신적(BDAG), 예루살렘 교회의 가난한 성도들을 위한 헌금
“섬기는 것” – λειτουργέω(레이투르게오, 복무하다, 섬기다), 부정사, 과거, 능동태
‘특별한 물질적 유익을 제공하다’ 곧, 섬기다(BDAG).
“마땅하니라” – ὀφείλω(오페일로, ~해야 한다, 책임을 행하다, 빚지다), 직설법, 현재, 능동태, 3인칭, 복수
‘의무가 있다’ 곧, 해야 한다, 해야만 한다(BDAG).
고전 9:11 우리가 너희에게 신령한 것을 뿌렸은즉 너희의 육적인 것을 거두기로 과하다 하겠느냐
갈 6:6 가르침을 받는 자는 말씀을 가르치는 자와 모든 좋은 것을 함께 하라
우리 모두는 복음 안에서 서로에게 빚진 자로, 사랑과 섬김으로 그 빚을 갚아야 한다.
교회 공동체 안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부분을 채워주고, 함께 성장해 나가는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
28 그러므로 내가 이 일을 마치고 이 열매를 그들에게 확증한 후에 너희에게 들렀다가 서바나로 가리라
“열매”
헌금 수익(BDAG)
헌금을 비유적으로 표현함
헌금을 열매로 표현한 것은 그 헌금이 영적인 은혜를 나누어 준 자들에 대한 감사와 사랑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맺어진 아름다운 결과이기 때문이다(옥스포드).
“확증한 후에” – σφραγίζω(스프라기조, 인치다, 봉인하다, 확증하다), 분사, 과거, 중간태, 남성, 단수, 주격
‘배달을 위해 무언가를 봉인하다’ 곧, 봉인하다(BDAG).
‘어떤 것을 안전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에게 넘겨주기 위해 준비하다’ 곧, 안전한 방식으로 넘겨주다, 안전한 방식으로 주다(LN).
‘이 열매를 그들에게 안전한 방식으로 넘겨준 후에’(LN)
구제 헌금의 중요성과 무결성을 확증하는 것을 의미하며(Moo, EGGNT), 곧 헌금이 안전하게 전달되었음을 나타낸다(AB, BECNT, ICC2, St, WBC).
“너희에게 들렀다가 서바나로 가리라”
사, 나는 너희를 지나 스페인으로 가겠다
“들렀다가” – διά(디아, 통하여), 전치사
‘영역이나 대상을 통한 확장(연장)을 나타내는 표시’ 곧, ~을 통해, ~을 지나(BDAG)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 주로 ‘통과’나 ‘지나감’을 표현한다.
- 기도 부탁
30 형제들아 내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랑으로 말미암아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어
“형제들아 내가…너희를 권하노니”
사, 이제 형제들아 내가 너희를 권한다
“이제”
새로운 단락을 도입하는 전환적 의미를 갖는다(EGGNT).
“권하노니”
‘강력히 권하다’ 곧, 간청하다, 권유하다, 권고하다, 격려하다(BDAG).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랑으로 말미암아”
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통하여) 그리고 성령의 사랑으로(통하여)
“말미암아” - ~으로, 통하여
긴급한(절박한) 요청의 문구에서 사용된다(BDAG).
‘예수 그리스도로’, ‘성령의 사랑으로’를 언급함으로, 이 요청이 단순한 인간적 간청이 아니라 신적 권위에 기초한 긴급한 요청임을 나타낸다(EGGNT).
“성령의 사랑으로”
‘성령의’ 이 속격은 성령께서 사랑의 원천임을 나타낸다(AB, BECNT, ICC, NAC, NICNT, TNTC, WBC).
(무엇을 권하는 것입니까?)
“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어”
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기도로 나와 함께 싸우기를
참조 구절, 골 4:3; 고후 1:11; 히 13:18; 엡 6:19
“나와 함께”
연합적 의미(EGGNT)
“힘을 같이 하여” – συναγωνίζομαι(쉬나고니조마이, 같이 싸워 나가다, 힘을 같이 하다), 부정사, 과거, 디포넌트, 함께 싸우기를
‘누군가와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다’ 곧, 함께 싸우다(BDAG).
지원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돕다, 지원하다’(BDAG)
열렬히 참여하다, 힘차게 참여하다(LN).
긴급한 도움의 필요성을 포함하고 있으며(Jewett, EGGNT), 다른 사람과 함께 싸우는 전투를 의미한다(Longenecker, EGGNT).
(두 가지 기도 요청은 무엇입니까?)
-
- 불순종하는 유대인들로부터 보호를 위해(31)
31 나로 유대에서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로부터 건짐을 받게 하고…
사, 유대에 있는 불순종하는 자들로부터 내가 구원받기 위해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 – ἀπειθέω(아페이데오, 불순종하다, 반역하다, 저항하다), 분사, 현재, 능동태, 남성, 복수, 속격, 관사와 함께, 불순종하는 자들
불신자들(Moo, EGGNT)
습관적 현재형(EGGNT)
불순종하다, 복종하지 않다(BDAG).
“건짐을 받게 하고” – ῥύομαι(흐뤼오마이, 구원하다, 구하다), 가정법, 과거, 디포넌트, 1인칭, 단수
신적 수동태
‘누군가를 위험에서 구출하다’ 곧, 구원하다, 구조하다, 전달하다, 보존하다(BDAC).
‘ἵνα + 가정법’은 ‘~하기 위해’로 번역한다.
-
- 구제헌금 전달 사역이 받을 만하게(31)
31 …또 예루살렘에 대하여 내가 섬기는 일을 성도들이 받을 만하게 하고
사, 그리고 예루살렘을 위한 나의 사역이 성도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기를 위하여
“섬기는 일” – διακονία(디아코니아, 섬김, 봉사, 사역, 직무), 명사, 여성, 단수, 주격, 사역
‘중개자로서 행한 섬김’ 곧, 사역, 임무(BDAG)
예루살렘을 위한 나의 사역(구제헌금을 전달하는 일)(BDAG)
‘섬김의 역할이나 지위’ 곧, 사역, 임무(LN)
“받을 만하게” – εὐπρόσδεκτος(유프로덱토스, 받을 만한, 좋아할 만한), 형용사, 여성, 단수, 주격
받아들여질 수 있는, 즐거운, 환영받는(BDAG)
여기서는, ‘호의적인 수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과 관련이 있는’ 곧, 받아들여질 수 있는(BDAG)
보수적인 유대인 그리스도인들 중 일부는 그에게 적대적일 수 있다(Gdt, Ho, ICC1, NICNT).
-
- 기쁨으로 너희와 함께 편히 쉴 수 있도록(32)
32 나로 하나님의 뜻을 따라 기쁨으로 너희에게 나아가 너희와 함께 편히 쉬게 하라
사, 하나님의 뜻에 의해 너희에게 나아가서 기쁨으로 내가 너희와 함께 쉴 수 있도록
“하나님의 뜻에 따라”
“뜻”
하나님의 주권적 계획
“따라”
‘어떤 결과를 발생시키는 효율적인 원인’ 곧, ~에 의해, ~을 통하여(BDAG)
여기서는, ‘하나님의 뜻에 의해’(BDAG)
“함께 쉬게 하라” – συναναπαύομαι(쉬나나파우오마이, 함께 쉬다), 가정법, 과거, 디포넌트, 1인칭, 단수, ἵνα와 함께, 함께 쉴 수 있도록
‘누군가와 함께 휴식을 취하다’ 곧, 함께 쉬다(BDAG).
공중 예배 후의 휴식과 관련된 암시를 나타낸다(BDAG).
‘다른 사람과 함께 휴식하다’ 곧, 함께 휴식하다(BSL).
- 축복 기도
33 평강의 하나님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계실지어다 아멘
사, 이제 평화의 하나님이 너희 모두와 함께, 아멘
“이제”
전환적 용법(EGGNT)
“평강” – εἰρήνη(에이레네, 평화, 화평, 평안), 명사, 여성, 단수, 속격
메시아 왕국의 본질적인 특징(BDAG)
‘조화로운 관계와 분쟁이 없는 상태’ 곧, 평화(BSL)
‘평화의 하나님’은 평화의 출처가 하나님이심을 강조한다(EGGNT).
“아멘”
이 구절이 기도임을 나타내며(TH), 이것은 기도의 일반적인 결론이다(AB, Mor).
헬라어 문법적으로, 기원이나 바람을 나타내는 가정법(optative mood) εἴη가 문맥상 생략되었다(Wallace, EGGNT).
- 적용
- 나에게 주신 하나님의 비전
- 나의 계획대로 되지 않을 때, 하나님의 때를 기다리는 인내
- 어려운 교회나 사람들을 돕는 섬김
- 선교사들과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중보적 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