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단 3~16절까지에서 바울은 26명의 개인에게 인사를 전하고 있다. 그중 15명은 바울의 가까운 친구들로 보이고, 11명은 바울이 덜 잘 알았던 가정교회 지도자들로 보인다(Jewett).
이들 중 열다섯 명은 그리스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곱 명은 유대 문화적 정체성을, 그리고 네 명은 로마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Jewett).
최소한 열 명은 노예이거나 해방된 노예로 보이며(Moo), 아홉 명은 여성이다(EGGNT).
바울은 인사 목록에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훨씬 더 적게 언급됨에도 불구하고 남성들보다 여성들을 더 많이(9명 중 7명) 칭찬한다(LRC).
바울은 또한 다섯 개의 그룹에 인사를 전하는데, 최소한 세 그룹(16:5a, 14b, 15b)은 가정교회들이다(Moo).
이러한 긴 명단의 목적은 편지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바울 자신이 환영받도록 하기 위함이다(Dunn).
이 단락은 열일곱 개의 문장 중 처음 열다섯 개의 문장은 ἀσπάσασθε(아스파삿데, 문안하라)로 시작하는 개인에 대한 인사이다(EGGNT). 갬블(Gamble)은 이 명령형이 "여기서 1인칭 직설법 형태를 대신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저자가 수신자들에게 직접적으로 개인적인 인사를 전하는 것을 나타낸다"라고 지적한다(EGGNT).
바울이 이렇게 언급한 인물들에게 자신이 직접 문안하지 않고 자신을 대신해서 문안하라고 요청한 것은 자신이 도착하기 전에 로마에 있는 신자들을 화해시키기 위한 수사적 전략의 일환으로, 유대인과 이방인을 더욱 화해시키기 위한 것이었다(Witherington).
이 인사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은(3-7) 바울의 사역과 관련된 사람들, 두 번째 부분은(8-15) 다른 친구들과 지인들(Schreiner), 세 번째 부분은(16) 서로 문안하라는 권면과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교회의 문안(EGGNT)이다.
로마 교회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독립적 사업가, 노예들, 자유민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로마 교회는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에 로마 교회들이 있었다(Schnelle, RLC).
3 너희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동역자들인 브리스가와 아굴라에게 문안하라
“문안하라” – ἀσπάζομαι(아스파조마이, 문안하다, 평안을 빌다, 안부를 묻다), 명령, 과거, 디포넌트
‘누군가를 환대하며 인정하다’ 곧, 인사하다, 환영하다(BDAG).
단순한 인사가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공동체 속에서 환대와 친밀한 교제를 나타내는 중요한 행위를 의미한다.
문장 맨 앞에 나와 강조되었다.
바울은 로마 교인들에게 26명의 이름을 나열하면서 그들에게 문안하라고 권면하고 있다. 그가 이렇게 함으로 로마 교인들과 친밀한 유대관계를 만들기 원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문맥상 위치를 나타낸다(EGGNT).
그리스도 예수의 사역 안에서(NLT)
따라서 ‘그리스도 예수의 사역 활동에 있어서’의 의미이다.
“동역자들” – συνεργός(쉬네르고스, 동료 일꾼, 동역자), 형용사, 남성, 복수, 대격
‘함께 일하는’ 곧, ‘돕는’의 명사적 용법으로, 돕는 자, 동역자(BDAG)
바울에게 있어서 이 용어는 순회 선교 동역자를 의미한다(Jewett, Schreiner).
바울은 다른 곳에서도 이 단어를 자신의 동역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였다(고전 3:9; 고후 1:24; 8:23; 빌 2:25; 4:3; 골 4:11; 살전 3:2; 몬 1, 24).
“브리스가와 아굴라”
부부로서 천막 제작자(tentmaker)이자 가죽 세공인이었다(행 18:1-4).
이 부부가 로마에서 천막 및 가죽 세공 회사를 설립하고, 고린도와 에베소에도 지점을 두었을 것이다(Longenecker, EGGNT).
교회는 에베소(고린도전서 16:19)와 로마(로마서 16:5a)에서 그들의 집에서 모였다.
고전 16:19 아시아의 교회들이 너희에게 문안하고 아굴라와 브리스가와 그 집에 있는 교회가 주 안에서 너희에게 간절히 문안하고
“그 집에 있는”
사, 그들의 집에 있는
롬 16:5 또 저의 집에 있는 교회에도 문안하라 내가 사랑하는 에배네도에게 문안하라 그는 아시아에서 그리스도께 처음 맺은 열매니라
두 사람의 이름이 모두 라틴어식 이름이지만(Jewett), 사도행전 18:2에서는 아굴라를 본도 출신의 유대인으로 식별하며, Cranfield는 브리스가 역시 유대인이었을 것이라고 결론 내린다(EGGNT).
신약에서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이름이 먼저 등장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브리스가가 아굴라보다 먼저 언급된 것은 그녀가 더 교육을 받았거나, 가정교회 내에서 더 강한 영적 지도력이나 사회적 지위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4 그들은 내 목숨을 위하여 자기들의 목까지도 내놓았나니 나뿐 아니라 이방인의 모든 교회도 그들에게 감사하느니라
“그들은 내 목숨을 위하여 자기들의 목까지도 내놓았나니”
사, 그들은 참으로 나의 목숨을 위하여 자기들의 목을 내놓았다
이것은 에베소 폭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AB, BECNT, ICC, Mor, NAC, NICNT, NTC). 이 사건은 은장색 데메드리오의 주도하에 일어난 폭동이다(행 19:23-41).
“참으로” – οἵτινες(호이티네스), 부정 관계대명사
문장 맨 앞에 나오는 οἵτινες(호이티네스)는 질적 의미를 갖는다(참으로 ~하는 자들)(EGGNT)
“자기들의 목까지 내놓았나니”
단순한 위험 감수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복음을 위한 희생을 의미한다.
“내놓았나니” – ὑποτίθημι(휘포티데미, 아래 놓이다, 위험하다, 알게 하다), 직설법, 과거, 3인칭, 단수, 사실적 부정과거
관용구로, 목을 내놓다, 위험을 무릅쓰다(BDAG).
바울이 상업적 비유를 즐겨 사용하는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은 자기들의 목을 담보로 내놓았다”(BDAG).
“나뿐 아니라 이방인의 모든 교회도 그들에게 감사하느니라”
사, 참으로 나뿐 아니라 이방인들의 모든 교회들도 그들에게 감사한다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가 바울뿐 아니라 이방인 교회들을 위해서도 헌신했음을 알 수 있다.
“참으로” – οἷς(호이스), 관계대명사, 그들에게
앞에 나오는 οἵτινες(호이티네스)와 의미상 차이가 거의 없다(EGGNT).
이 여격은, 감사가 전달되는 대상이 아니라 ‘감사의 이유가 되는 대상’을 가리킨다(EGGNT).
5 또 저의 집에 있는 교회에도 문안하라
사, 그들의 집 안에 있는 교회에도(문안하라)
“집에 있는 교회”
사, 집 안에 있는 교회
“안에 있는” – κατὰ(카타, 아래로, 밑에, ~에 따라서, 맞서), 전치사
대격과 함께 사용될 때, 공간적 측면, 곧 공간 내에서의 확장, ~안에(in)를 의미한다(BDAG).
“교회”
‘신앙을 공유하는 사람들’, 곧 ‘공동체, 회중’으로, 이스라엘 하나님에 대한 공동의 관심을 가진 공동체(BDAG)
여기서는, 어떤 가정에서 기독교 공동체가 모이는 교회, 곧 가정교회(house-church)(가정 집회, house-assembly)를 의미한다(BDAG).
고전 16:19 아시아의 교회들이 너희에게 문안하고 아굴라와 브리스가와 그 집에 있는 교회가 주 안에서 너희에게 간절히 문안하고
골 4:15 라오디게아에 있는 형제들과 눔바와 그 여자의 집에 있는 교회에 문안하고
몬 1:2 자매 압비아와 우리와 함께 병사 된 아킵보와 네 집에 있는 교회에 편지하노니
1세기에는 교회 건물이 없었다(ICC2, Mor).
교회들은 아마도 매주 정기적으로 가정에서 모였으며, 다른 교회들과 함께하는 더 큰 모임은 아마도 한 달에 한 번 정도 모였다(WBC).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의 집이 가정교회로 세워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에 의하면, 최소한 5개 이상의 가정 교회가 로마의 도시에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5, 10, 11, 14, 15)(Hultgren, Schreiner, 김곤주).
313년에 콘스탄틴 황제에 의해서 기독교가 공인되어 바실리카 교회당 건물이 세워지기까지 신자들은 가정집에서 모였다(김곤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