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내가 사랑하는 에배네도에게 문안하라 그는 아시아에서 그리스도께 처음 맺은 열매니라
“에배네도”
해방된 노예 출신(Jewett) 그리스도인(Dunn)
에베소에서 로마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크다(Jewett).
“내가 사랑하는 에배네도”
사, 나의 사랑받는 자 에배네도
“사랑하는” – ἀγαπητός(아가페토스, 사랑하는, 사랑을 입은, 사랑받는), 형용사, 남성, 단수, 대격, 명사적 형용사, 사랑받는 자
‘매우 사랑받는 사람과 관련된,’ 곧 친애하는, 사랑받는, 소중한, 가치 있는(BDAG)
사도 바울과 에배네도가 서로 잘 아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그리스도께” – 그리스도를 위한
εἰς(에이스) + 대격(그리스도)은 유익(“그리스도를 위한”)을 나타낸다(Jewett).
따라서 그의 개종이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위한 헌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처음 맺은 열매” – ἀπαρχή(아파르케, 첫 열매), 명사, 여성, 단수, 주격
사, 첫 열매
비유적으로, 첫 번째 개종한 신자(BDAG)
고전 16:15 형제들아 스데바나의 집은 곧 아가야의 첫 열매요 또 성도 섬기기로 작정한 줄을 너희가 아는지라 내가 너희를 권하노니
6 너희를 위하여 많이 수고한 마리아에게 문안하라
사, 마리아에게 문안하라, 참으로 그녀는 너희를 위하여 많이 수고했다
“수고한” – κοπιάω(코피아오, 지치다, 피곤하다, 애쓰다), 직설법, 과거, 능동태, 3인칭, 단수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또는 영적으로 힘쓰다’, 곧 열심히 일하다, 수고하다, 애쓰다, 분투하다(BDAG).
“마리아”
유대인 노예 출신이었으며, 회심한 후 로마에서 전도자로 활동했을 것이다(Jewett).
“참으로” – ἥτις(헤티스), 부정 관계대명사
질적 의미를 갖는다(참으로 ~한 사람)(EGGNT)
7 내 친척이요 나와 함께 갇혔던 안드로니고와 유니아에게 문안하라 그들은 사도들에게 존중히 여겨지고 또한 나보다 먼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라
“친척”
‘동일한 민족 집단에 속하는 사람’, 곧 동포, 친족(BDAG)
동족 유대인(Dunn, Jewett, Schreiner, EGGNT, AB, NAC, NICNT, HNTC, Mu, NTC, SSA, St, TH)
“함께 갇혔던” – συναιχμάλωτος(쉬나이크말로토스, 함께 갇힌 자, 동료 죄수), 명사, 남성, 복수, 대격, 동료 죄수들
안드로니고와 유니아와 동격
동료 죄수(fellow-prisoner)(BDAG, LN, BSL)
로마 관할 감옥인 가이사랴 일 것이다(NIGTC).
“안드로니고와 유니아”
부부 사역 팀이었을 가능성이 크다(Jewett, NIGTC, BECNT, Mor, NAC, NICNT, WBC).
헬레니즘화된 유대인 노예 출신일 가능성이 높다(Dunn).
“정관사 + 명사(안드로니고) + καί(카이, 와) + 명사(유니아)” 이런 형태를 그랜빌 샤프 규칙이라 하는데, 두 명사가 동일한 정체성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안드로니고와 유니아가 모두 바울의 동족이자 함께 갇힌 자임을 나타낸다(EGGNT).
“유니아” – Ἰουνιᾶς(유니아스), 명사, 여성, 단수, 대격
여성 사도로 볼 수 있다. 최근 학자들은 문법적, 필사본적 증거를 바탕으로 여성 이름(Junia)일 강한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 있다(AB, ICC2, NICNT, WBC, NAC, SSA, St, TNTC).
여성 이름으로 약 250개의 예가 로마 저술들에 나오는 반면, 남성 이름으로서의 ‘유니아스’의 예는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Jewett, LRC).
13세기경까지만 해도 Ἰουνιαν(이우니안, 유니아, 대격) 여성의 이름이라는 의견이 거의 만장일치로 일치했지만, 그 후 남성의 이름으로 보는 것으로 바뀌었고(중세 카톨릭에 여성 사제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생긴 일), 지금은 학계의 의견이 다시 여성의 이름이라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NICNT).
“그들은 사도들에게 존중히 여겨지고”
사, 그들은 참으로 사도들 중에서 저명하고(뛰어나고, 탁월하고)
“참으로” – οἵτινές(호이티네스), 부정 관계대명사
질적 의미를 갖는다(참으로 그들은)(EGGNT)
“사도들 가운데”
열두 사도 외에 더 넓은 사도 그룹이 있었고, 이 두 사람이 그 그룹에 속해 있었다(AB, BECNT, HNTC, ICC, NAC, NICNT, SSA, St, TH, TNTC, WBC, NTC, SSA, Gdt).
그들은 선교사이거나 순회 전도자였다(AB, BECNT, Gdt, NAC, NTC, St, WBC).
초기 기독교에서 '사도'는 복음을 전파하는 자를 의미하며, 엄격히 제한되지 않았다(BDAG).
바울
롬 1:1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으니
마티아
행 1:23-26 그들이 두 사람을 세우니 하나는 요셉이라, 별명은 바사바라 하여 또 의인이라 칭하고 하나는 마티아라 하여... 제비 뽑아 마티아가 열한 사도와 같이 택함을 받으니라
바나바
행 14:14 두 사도 바나바와 바울이 듣고 옷을 찢고 무리 가운데 뛰어 들어가서 소리 질러
주의 형제 야고보(사도 그룹)
고전 15:7 그 후에 야고보에게 보이셨으며 그 후에 모든 사도에게와
갈 1:19 주의 형제 야고보 외에 다른 사도들을 보지 못하였노라
“존중히” – ἐπίσημος(에피세모스, 저명한), 형용사, 남성, 복수, 주격, 서술적 용법
‘탁월한 품질을 가진’, 곧 빛나는, 두드러진, 저명한, 뛰어난(BDAG)
“또한 나보다 먼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라”
“있는 자라” – γίνομαι(기노마이, ~이다, 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직설법, 완료, 능동태, 3인칭, 복수, 그들은 있어왔다
완료형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의미이다.
8 또 주 안에서 내 사랑하는 암블리아에게 문안하라
8절부터 15절까지는 바울이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인사한다. 그리고 목록에 있는 무리들은 로마에 있는 여러 가정 교회들에 해당될 수 있다(Dunn, Niemela, LRC).
“암블리아”
라틴어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노예들에게 주어진 이름이다(Jewett, Dunn, ICC2, NAC).
“내 사랑하는”
사, 나의 사랑받는 자
“사랑하는” – ἀγαπητός(아가페토스, 사랑하는, 사랑을 입은, 사랑받는), 형용사, 남성, 단수, 대격, 명사적 형용사, 사랑받는 자
‘매우 사랑받는 사람과 관련된,’ 곧 친애하는, 사랑받는, 소중한, 가치 있는(BDAG)
5절의 “사랑하는”과 같은 단어
“내 사랑하는”은 5절(내가 사랑하는 에배네도)과 같은 단어이지만 “주 안에서 내 사랑하는”은 개인적인 친밀함보다 주님의 사역에서 사랑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9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동역자인 우르바노와 나의 사랑하는 스다구에게 문안하라
“그리스도 안에서”
단순한 신앙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섬기는 사역 가운데서’를 의미한다(Harris, EGGNT).
“동역자” – συνεργός(쉬네르고스, 동료 일꾼, 동역자), 형용사, 남성, 단수, 대격, 명사로 쓰임
‘함께 일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협력자(helper), 동역자(fellow-worker)(BDAG)
바울은 복음을 전파하는 데 도움을 준 사람들을 자신의 동역자로 언급한다(BDAG).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동역자들(3)”
빌 4:3 또 참으로 나와 멍에를 같이한 네게 구하노니 복음에 나와 함께 힘쓰던 저 여인들을 돕고 또한 글레멘드와 그 외에 나의 동역자들을 도우라 그 이름들이 생명책에 있느니라
몬 1:1 그리스도 예수를 위하여 갇힌 자 된 바울과 및 형제 디모데는 우리의 사랑을 받는 자요 동역자인 빌레몬과
“우르바노”
흔한 로마 노예의 이름(Dunn, EGGNT)
선교 동역자로서 바울에게 확실히 잘 알려진 해방된 노예(Jewett, EGGNT)
‘나의 동역자’가 아닌 ‘우리의 동역자’라고 한 것은 바울이 우르바노를 개인적으로 알기보다는 그의 명성을 통해 알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Cranfield, EGGNT).
초기 교회가 사회적 신분을 뛰어넘어 복음을 전하는 공동체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예 출신이었던 우르바노가 선교의 동역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복음이 사회적 장벽을 허무는 힘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갈 3:28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스다구”
그리스어 이름(Jewett)
노예 출신(Cran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