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 받은 큰 무리
계 7:5-17
서론:
요한계시록 7장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확실한 보호와 구원의 완성을 보여주는 귀한 말씀입니다. 이 장은 환난 중에 있는 교회를 위로하고 격려하기 위해 기록되었으며, 하나님께서 어떻게 그의 백성을 끝까지 지키시는지를 환상을 통해 보여줍니다.
오늘 본문에는 두 부류의 구원 받은 무리가 등장합니다. 하나는 인침을 받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이고, 다른 하나는 셀 수 없이 많은 이방인 무리입니다. 이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과 그 구원 계획의 성취를 위한 우리의 사명을 새롭게 하는 시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 이스라엘의 인침 받은 자들(5-8)
5 유다 지파 중에 인침을 받은 자가 일만 이천이요 르우벤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갓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유다 지파가 제일 먼저 언급된 것은 메시아가 이 지파에서 나오셨기 때문일 것이다(BNTC, ICC, Lns, NIC, NIGTC, NTC, TNTC, WBC).
6 아셀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납달리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므낫세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7 시므온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레위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잇사갈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8 스불론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요셉 지파 중에 일만 이천이요 베냐민 지파 중에 인침을 받은 자가 일만 이천이라
“인침을 받은 자” – σφραγίζω(스프라기조, 인치다, 봉인하다, 확증하다), 분사, 완료, 수동태, 남성, 복수, 주격, 한정 분사
한정 분사로 일만 이천을 수식합니다.
‘신원 확인의 수단으로 인장을 찍다.’ 표시하다, 봉인하다(BDAG).
소유권을 나타내는 표식이 동시에 소유자의 보호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BDAG).
7:3 이르되 우리가 우리 하나님의 종들의 이마에 인치기까지 땅이나 바다나 나무들을 해하지 말라 하더라
요한계시록 7:5–8에서 열두 지파의 목록에 므낫세가 단 지파를 대신하는 것은 창 49:17에 근거하여, 단 지파가 적그리스도가 나온다고 여겨지는 지파이기 때문이다. 교부 이레니우스(Irenaeus)와 부셋(W. Bousset) 등의 주석에 따르면, 창세기 49:17에서 단 지파에 대해 “단은 길섶의 뱀이요 샛길의 독사로다” 라고 언급된 것을 근거로, 이 지파에서 적그리스도가 나올 것이라는 전승이 생겼다(BDAG).
이 수가 상징이든 실제이든 이스라엘 중에 구원 받은 사람들이 있다는 것만은 확실합니다.
- 이방인들의 구원 받은 큰 무리(9-17)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이스라엘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방인들을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
- 천상 예배에 참여하는 무리(9-10)
9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아무도 능히 셀 수 없는 큰 무리가 나와 흰 옷을 입고 손에 종려 가지를 들고 보좌 앞과 어린 양 앞에 서서
“이 일 후에”
요한이 앞서 본 이스라엘 각 지파에서 인침을 받은 144,000의 환상을 본 후를 가리킵니다.
이 환상은 영광스러운 미래의 날, 즉 최후의 핍박을 통과한 자들이 영생의 복에 들어가게 될 날을 나타내며(NICNT), 큰 고통을 겪을 사람들을 격려하기 위해 주어진 신자들의 최종적인 행복 상태에 대한 엿보기이다(NIC).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모두 합쳐서 전체 인류를 가리킨다(TH).
5:9 그들이 새 노래를 불러 이르되 두루마리를 가지시고 그 인봉을 떼기에 합당하시도다 일찍이 죽임을 당하사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 가운데에서 사람들을 피로 사서 하나님께 드리시고
“큰 무리”
모든 민족에서 취해진(WBC), 모든 시대의 신자들(NIC)
“흰 옷을 입고”
흰 옷은 다음을 상징한다; 거룩함(Lns), 의롭다 하심(TNTC), 지복(최고의 행복)(NTC), 승리(LD, NIC), 그리스도의 의(NIC), 시험을 통한 순수함(NIGNT)
“손에 종려 가지를 들고”
종려 가지는 다음을 상징한다; 기쁨(Alf, ICC, NIC, TH), 승리(BNTC, EC, ICC, LD, NIC, NIGTC, NTC, TNTC, WBC), 순수함(BNTC, NIC), 생명과 구원(Lns)
“보좌 앞”
이는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을 가리키며(WBC), 하나님의 권능과 통치와 주권을 상징한다(Lns).
4:10 이십사 장로들이 보좌에 앉으신 이 앞에 엎드려 세세토록 살아 계시는 이에게 경배하고 자기의 관을 보좌 앞에 드리며 이르되
10 큰 소리로 외쳐 이르되 구원하심이 보좌에 앉으신 우리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있도다 하니
“구원하심이 우리 하나님께”
구원은 우리 하나님께 속하였도다(WBC, NET, NIV, NRSV).
구원은 우리 하나님으로부터 오는도다(NLT, TEV).
구원은 우리 하나님께로부터 말미암았도다(NIGTC, NAB, TNT).
이는 하나님이 그들의 구원의 근원이심을 인정하는 것이다(Alf, LD, Lns, NIC, NIGTC, TNTC, WBC)
“구원하심” – σωτηρία(소테리아, 구원, 구출, יְשׁוּעָה), 명사, 여성, 단수, 주격
초월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구원(BDAG)
10절은 송영의 일부(BDAG)
-
- 천사들과의 합창(11-12)
11 모든 천사가 보좌와 장로들과 네 생물의 주위에 서 있다가 보좌 앞에 엎드려 얼굴을 대고 하나님께 경배하여
“네 생물”
‘일반적인 묘사 범주를 초월하며 종종 복합적인 피조물’, 곧 생명체/존재(BDAG)
‘하나님의 보좌를 둘러싼 초자연적인 존재’, 곧 살아있는 존재(LN)
“주위에” – κύκλῳ(퀴클로, 주위에, 도처에, 두루), 부사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로 고정되어 사용되며, 둘러싸는(포위하는) 것과 관련된 의미(BDAG)
“보좌 앞에 엎드려”
엎드려 절했다는 의미(Sw, TH)
경배나 겸손의 표시(BDAG)
12 이르되 아멘 찬송과 영광과 지혜와 감사와 존귀와 권능과 힘이 우리 하나님께 세세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하더라
“아멘”
앞의 ‘아멘’은 ‘구원하심이 보좌에 앉으신 우리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있도다(10)’의 찬양을 강력하게 동의한다는 의미입니다.
“각각 명사 앞에 붙은 정관사”
이 정관사는 각 단어를 강조하며(NIC, Sw), ‘무엇보다 뛰어난…’을 의미한다(TNTC).
“세세토록”
영원무궁토록(BNTC, EC, WBC)
“아멘”
마지막 ‘아멘’은 구절 전체의 신뢰성을 주장한다(TNTC).
-
- 흰 옷을 입은 자들(13,14)
13 장로 중 하나가 응답하여 나에게 이르되 이 흰 옷 입은 자들이 누구며 또 어디서 왔느냐
14 내가 말하기를 내 주여 당신이 아시나이다 하니 그가 나에게 이르되 이는 큰 환난에서 나오는 자들인데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하였느니라
“주여”
존경 받는 인물에 대한 호칭으로, ‘선생님(sir)’과 같은 의미(BDAG)
“당신이” – σὺ οἶδας
강조됨, ‘바로 당신이’의 의미
“큰 환난”
이는 다니엘 12:1, 마태복음 24:21, 마가복음 13:19, 데살로니가전서, 그리고 요한계시록 3:10에서 언급된 큰 환난을 가리키며, 이는 종말 이전에 발생한다(EC, ICC, NIC, NIGTC, TH, WBC).
이것은 요한 시대에 시작되어 그리스도의 최종 승리까지 계속되는 박해를 가리킨다(NTC).
“환난” – θλῖψις(들립시스, 환난, 고통, 괴로움), 명사, 여성, 단수, 속격
은유적으로, 고통, 억압, 환난, 시련으로(BDAG), 외부 환경으로 인해 초래된 고난을 의미한다(BDAG).
“어린 양” – ἀρνίον(아르니온, 어린 양, 새끼 양), 명사, 중성, 단수, 속격
모두 비유적 의미로만 사용되었고, 요한계시록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됨(BDAG)
“피” – αἷμα(하이마, 피, 혈), 명사, 중성, 단수, 여격
속죄 제물로서의 피와 생명으로, 예수님의 피(BDAG)
요일 1:7 그가 빛 가운데 계신 것 같이 우리도 빛 가운데 행하면 우리가 서로 사귐이 있고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옷” – στολή(스톨레, 긴 옷, 끌리는 옷, 예복), 명사, 여성, 복수, 대격
길고 흘러내리는 예복으로, 여기서는 은유적 의미로, 영화롭게 된 성도들이 입은 옷으로 묘사됨(BDAG)
“씻어” – πλύνω(플뤼노, 씻다, 빨다), 직설법, 과거, 능동태, 3인칭, 복수
의복을 씻는 행위는 죄로부터의 정결함을 상징함(BDAG)
“희게 하였느니라” – λευκαίνω(류카이노, 희게 하다), 직설법, 과거, 능동태, 3인칭, 복수
죄 사함, 의로움, 성도의 영화를 상징함
-
- 하나님 앞에서 섬기는 자들(15)
15 그러므로 그들이 하나님의 보좌 앞에 있고 또 그의 성전에서 밤낮 하나님을 섬기매…
“그러므로”
이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LN)
이는 앞선 구절이 그들이 하나님의 보좌 앞에 있을 수 있는 이유를 나타내기 때문이다(BNTC, EC, Lns, NIC, NIGTC, TH, WBC).
“하나님의 보좌 앞에 있고”
하나님과 교제하고 있으며(LD), 하나님께 직접 나아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TNTC).
“성전”
건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어린 양의 임재를 가리킨다(NIGTC, Sw)
21:22 성 안에서 내가 성전을 보지 못하였으니 이는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와 및 어린 양이 그 성전이심이라
“밤낮”
‘끊임없이’를 의미한다(EC, ICC, NIC, TH, WBC).
“하나님을 섬기매”
하나님을 경배하는 것을 의미한다(EC, ICC, NIC, TH).
-
- 하나님의 보호와 어린 양의 인도(15-16)
15 …보좌에 앉으신 이가 그들 위에 장막을 치시리니
“그들 위에 장막을 치시리니”
사, 그들 위에 거하시리니
이는 그들과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실제적인 임재를 나타내며(ICC, NIC, NTC, TNTC), 피난처와 보호를 의미한다(NIC, TH).
16 그들이 다시는 주리지도 아니하며 목마르지도 아니하고 해나 아무 뜨거운 기운에 상하지도 아니하리니
사 49:10 그들이 주리거나 목마르지 아니할 것이며 더위와 볕이 그들을 상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그들을 긍휼히 여기는 이가 그들을 이끌되 샘물 근원으로 인도할 것임이라
주림과 목마름은 그들이 환난 가운데서 견뎌낸 모든 것을 상징한다(Wal).
17 이는 보좌 가운데에 계신 어린 양이 그들의 목자가 되사 생명수 샘으로 인도하시고 하나님께서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씻어 주실 것임이라
16절의 이유를 나타낸다(EC, Lns, NIGTC).
“목자가 되사” – ποιμαίνω(포이마이노, 양을 치다, 돌보다), 직설법, 미래, 능동태, 3인칭, 단수
‘다른 사람들을 주의 깊게 살피다.’ 곧 양을 치다, 보호하고, 다스리고, 통치하며, 양육하는 활동에 대한 비유적인 표현(BDAG)
“생명수 샘”
사람들의 영혼의 갈망이 궁극적으로 충족됨을 나타낸다(NIC).
“인도하시고”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도움을 주다’는 의미(BDAG)
실제 목자와 예수님과의 유사점; 돌봄(EC, NIC, TH), 필요에 대한 공급(NIC, TNT), 리더십(Lns, NTC), 보호(BDAG)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씻어 주실 것임이라”
이는 그분께서 모든 고통과 슬픔의 근원을 제거하실 것을 의미한다(TH).
사 25:8 사망을 영원히 멸하실 것이라 주 여호와께서 모든 얼굴에서 눈물을 씻기시며 자기 백성의 수치를 온 천하에서 제하시리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
계 21:4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닦아 주시니 다시는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이러라
이는 그가 그들을 모든 악에서 구원하시고 그들이 그의 교제를 누린다는 것을 의미한다(TNTC).
이는 그들이 천국에 도착할 때, 환난 중에 눈물을 흘리게 했던 모든 것이 끝날 것을 의미한다(Wal).
-
- 그 수가 다 차기까지 증인의 사명을 다해야 함
마 24:14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
롬 11:25 형제들아 너희가 스스로 지혜 있다 하면서 이 신비를 너희가 모르기를 내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 신비는 이방인의 충만한 수가 들어오기까지 이스라엘의 더러는 우둔하게 된 것이라 26 그리하여 온 이스라엘이 구원을 받으리라 기록된 바 구원자가 시온에서 오사 야곱에게서 경건하지 않은 것을 돌이키시겠고